1. ISA는 무엇인가?
2. ISA 특장점 이해
1. ISA는 무엇인가?
ISA의 정식 명칭은 '개인 종합 자산 관리 계좌'라는 어려운 용어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그냥 '절세 계좌'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럼 얼마나 절세되는데요?
일반 계좌로 수익을 보면 수익의 15.4%가 세금이지만, ISA 계좌는 9.9%로 줄어듭니다.
고작 5.5% 줄여주는데... 이름이 너무 거창한 거 아닌가요??
게다가 이 5.5% 혜택을 위해 가입 후 최소 3년 동안 해지하면 안 되고, 해지하면 당연히 아무런 혜택이 없습니다.
그럼 쓰레기 아닌가요?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ISA 특징과 활용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생각이 좀 달라질 것입니다.
아! 여기서 ISA 계좌의 종류가 3가지 있는데 저는 '중개형 ISA' 계좌만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신탁형, 일임형 ISA 계좌도 있는데 이건 그냥 투자회사에 돈을 맡기고 잘하는지 째려보면 됩니다.
뭐, 특별히 설명할 내용이 없습니다. 저는 내 마음대로 투자할 수 있는 '중개형'만 다룹니다.

2. ISA 특장점 이해
(1) 거래수수료가 거의 안 들어간다.
요즘 주식 계좌 거래수수료가 보통 0.015% 수준으로 많이 줄긴 했습니다만 ISA 계좌는 이 수수료가 아예 '0'원 수준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0.0036396%인데 10만 원 거래 시 3.6원 정도니까 그냥 '0원'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도 증권사마다 ISA 계좌 유치를 위해 매우 경쟁적으로 수수료 이벤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수수료로 먹고사는 증권사가 왜 이런 제 살 깎아먹는 이벤트를 하고 있을까요?
그것은 바로 '1인 1 계좌' 때문에 초기에 고객을 선점하지 못하면 다시 고객을 유치하기 몇 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론 가입 후 타 증권사로 이전이 가능합니다만... '주식' to '주식'으로 이전이 안되고 모두 현금화한 다음 '현금' to '현금'으로만 이전이 되기 때문에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닙니다. 한마디로 계좌 이전은 아주 큰 혜택이 아니면 거의 하지 않게 됩니다.
다시 말해 처음 ISA를 가입할 때 증권사를 '잘!!!" 고르셔야 합니다.
수수료 혜택이 가능하다면 평소 본인이 주로 쓰는 증권사로 선정해서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다른 것은 다 잊어도 '수수료가 적다' = '거래가 잦을수록 유리하다'라는 것을 일단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2) 과세 이연 및 수익 통산
과세 이연? 수익 통산? 말이 어렵죠?
말만 어렵습니다. 과세 이연이란 말 그대로 세금 빼가는 것을 나중에 한꺼번에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럼 언제 한다는 건가요? 돈을 실제 인출할 때나 통장을 아예 해지할 때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럼 보통 계좌는 언제 과세를 한다는 거죠? 복잡한 이야기 다 빼고 늦어도 1년마다 과세를 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그러니까 내가 10년 뒤부터 인출을 하겠다고 생각한다면 적어도 1년마다 내야 하는 세금을 10번 연기했다가 10년 만에 1번 내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거 세금 내는거 똑같은 거네요? 맞습니다. 똑같습니다. 그래서 안 내는 게 아니고 연기해 주겠다는 겁니다.
이게 나에게 무슨 혜택이 있다는 건가요?
미리 내야하는 세금으로 '재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는 정도로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수익 통산은 쉽게 말해 투자과정에서 생긴 손실을 감안해서 과세해 준다는 것입니다.
이건 쉽죠? 일반 계좌는 한 계좌에서 손실이 얼마나 크던지 이익이 조금만 생기면 세금을 부가해 버립니다. 열받죠?
ISA 계좌는 과세 시점에서 이익에서 손실을 빼고 남는 이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가해 주니 좀 더 절세가 됩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다른 것은 다 잊어도 '과세이연, 수익통산' = '장기간 투자할수록 유리하다'라는 것을 일단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3) 200만원? 400만원? 비과세? 3년마다 갈아타기?
ISA는 계좌마다 처음 수익의 200만원 또는 400만원(연 수입 5,000만원 이하 유지 시)을 비과세 해주는 혜택도 줍니다.
그러니까 최소 가입기간인 3년마다 해지하고 다시 재가입하면 이 200만원 또는 400만원에 해당되는 세금을 반복해서 절약할 수 있습니다. 금액으로 보면 약 3년마다 20만원 또는 40만원입니다.
일단 저는 이 혜택은 무시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나중에 설명드리겠지만 이 혜택을 보기 위해 과세 이연을 포기하는 것이 손실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3년이후 해지 시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면 최대 300만원 세금 공제해 주는 혜택도 줍니다.
그런데 다 아시다시피 연금저축은 만 55세 이후 10년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 혜택을 보는 계좌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만 55세가 넘으신 분들은 관계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연금저축 이전은 논외로 하기로 합니다.
(4) ISA 특장점 결론
- 0원과 같은 낮은 수수료 = 잦은 거래에 부담이 없다.
- 과세이연 = 장기간 해지하지 않고 투자할수록 이연되는 세금 혜택이 커진다.
- 수익통산 = 거래로 인한 손실이 생기면 그만큼 세금이 줄어든다.
- 기타 혜택 = 무시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ISA 계좌의 특장점을 100% 활용하는 투자법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초 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코스6] 레버리지 투자의 오해와 진실 #4 (1) | 2022.10.08 |
---|---|
[기초 코스5] 레버리지 투자의 오해와 진실 #3 (0) | 2022.10.07 |
[기초 코스4] 레버리지 투자의 오해와 진실 #2 (0) | 2022.10.06 |
[기초 코스3] 레버리지 투자의 오해와 진실 #1 (1) | 2022.10.05 |
[기초 코스2] 국내 투자 vs 해외 투자 (1)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