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 시황 및 이슈11

[8월17일] 중국 경제위기에 대해 살펴보자 [경향신문] 축 늘어진 중국 경제, 전 세계가 한숨 쉰다 (23.8.16) [디지털투데이] 중국에서 무슨 일이?... 심상치 않은 중국발 경제 위기론 (23.8.17) 요즘 온통 중국발 경제위기가 온다고 거의 시끄러울 지경으로 언론들이 기사를 싣고 있습니다. 심지어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시작된 미국의 공황급 금융붕괴에 빗대어 그만큼의 경제 충격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투자에 임하는 우리는 항상 '역발상'을 하여야 합니다. 즉 '위기' 속에서 우리는 '위험과 기회'를 동시에 바라볼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말은 들어본 적이 있나요? "알려진 위험은 위험하지 않다" 잘 생각해 보시죠. 내가 암에 걸려 있는지 초반부터 잘 알고 있다면 완치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문제는 내가 .. 2023. 8. 17.
[1월5일] 중국 반도체 굴기 선언 포기 (고래싸움에 새우가 득본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전망 관련해서 제가 전에 다음 2개의 글을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10월9일] 원유 감산 발표로 반도체 감산의 의미도 살펴보자 [10월12일]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와 그 영향을 살펴보자 미국이 저렇게 미친 듯이 중국 반도체 성장을 규제하려는 이유와 우리나라에 미치는 단기적, 장기적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불과 한 달 전만에도 이런 기사들이 많았습니다. "중국, 반도체 산업에 약 187조원 지원"-로이터 [아주경제] 미국의 강력한 반도체 규제를 비웃듯 "돈이면 다 돼~"라는 아주 자본주의적 자세로 중국의 발도체 굴기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는 보도였죠. 이에 미국은 더욱더 미친 듯이 추가 규제에 대한 협박성 기사를 쏟아내게 됩니다. “美, YMTC 등 30개사 .. 2023. 1. 10.
[12월15일]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환율, 물가로 살펴보는 2023년 세계경제위기와 우리의 대응 거의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2023년 세계경제는 최소한 침체에 빠지고,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 근거 중에 하나로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을 많이 언급하는데요. 먼저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무엇인지부터 간단히 정리해 보죠. 금리는 금융시장에서 돈에 대한 수요과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빌리려는 수요가 많아지면 금리가 상승하고, 빌려주려는 공급이 많아지면 금리가 하락하는 것이죠. 그런데 이렇게 완전히 금융시장에 금리를 맡길 경우 불안정한 금리로 인해 많은 부작용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국가가 나서서 중앙은행을 통해 기준 금리를 결정하면서 시장에 개입합니다. 즉 시중은행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에 맞춰 단기 금리를 조정하게 됩니다. (여기서 단기 금리는 보통 3개월에서 2년 이내를 말합니.. 2022. 12. 15.
[11월14일] FTX 사태와 코인투자를 살펴보자 요즘 코인 거래소의 부실화로 인한 뱅크런 사태로 현물 주식시장까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코인 거래소 FTX 사태와 코인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어떻게 가져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 암호화폐(가상화폐, 코인)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아야겠죠?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 동전은 실물 화폐이고 이것이 사이버 가상공간에 암호화되어 있으면 암호화폐가 됩니다. 사이버 공간? 사이비 공간하고 점하나 차이네요? ^^ 네, 사실 사이버 공간(암호 화폐)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바로 사이비 공간이 돼 버립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죠. 내가 오만 원짜리 지폐를 받고 오만 원에 해당하는 가치의 재화를 팔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네, 바로 내가 받은 오만 원짜리 지폐로, 다시 오만 원어치에 해당하는 재화를 언제든.. 2022. 11. 15.
[11월8일] 금융투자소득세 무엇이 문제인가? 11월 6일 한국경제 "피눈물 흘렸는데" 개미들 반대에도…민주당 '금투세법 꼼수' 11월 7일 조선일보 [데스크에서] 서민 울리는 금융투자稅 최근 금융투자소득세(이하 금투세)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년 전에 금융 상품에 투자해서 생긴 수익을 모두 하나로 합쳐서 누진적으로 세금을 매기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그런데 여러 이유로 제도의 시행이 2022년까지 유예되었고, 이것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다시 2년 더 유예하면서 아예 제도 도입 자체를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것에 대해 제도를 처음 도입하려고 했던 현재 야당이 된 민주당에서 제동을 건 것입니다. 전 이 제도의 시행을 두고 서민을 울린다, 개미들이 반대한다 등의 논리에는 우선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정치적인 이야.. 2022. 11. 8.
728x90